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DevelopmentRegion
- detect url
- Tuist
- GeometryReader
- notifychanged
- Android
- Side Menu
- convert base64
- scrolling tab
- DataBinding
- oberve url
- base64 변환
- ios
- 상단 탭바
- List
- url 관찰
- pod install
- UIViewControllerTransitioningDelegate
- development language
- url 추적
- swift #swift keychain #keychain 사용법
- SwiftUI
- Swift Package Manager
- ViewBuilder
- swift
- transformation.map
- 기존 앱
- 개발자 면접
- UIPresentationController
- 스크롤 탭
- Today
- Total
버그 잡이
Swift - protocol(프로토콜) 본문
프로토콜은 특정 역할을 하기 위한 메서드 프로퍼티, 기타 요구사항 등의 청사진입니다.
프로토콜은 정의를 하고 제시를 할 뿐 스스로 기능을 구현하지는 않습니다.
(자바의 인터페이스와 비슷한 개념인 것 같네요)
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.
protocol RandomNumberGenerator {
func random() -> Double
}
위의 프로토콜을 채택하면 해당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속성과 메서드를 필수적으로 구현해야 합니다.
class LinearCongruentialGenerator: RandomNumberGenerator {
var lastRandom = 42.0
let m = 139968.0
let a = 3877.0
let c = 29573.0
func random() -> Double {
lastRandom = ((lastRandom * a + c)
.truncatingRemainder(dividingBy:m))
return lastRandom / m
}
}
가변 메서드의 요구
메서드가 인스턴스 내부의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mutating을 사용합니다.
값 타입(struct, enum)의 인스턴스 메서드에서 내부의 값을 변경 할 때는 메서드의 func 앞에 mutating 키워드를 적어줘야 합니다.
프로토콜 메서드에 mutating에 적용되어 있다고 해도 클래스 구현에 있어서는 mutating을 써주지 않아도 됩니다.
protocol Togglable {
mutating func toggle()
}
//채택시 mutating을 붙여줘야한다.
enum OnOffSwitch: Togglable {
case off, on
mutating func toggle() {
switch self {
case .off:
self = .on
case .on:
self = .off
}
}
}
//class는 mutating을 안 붙여도 됩니다.
class OnOffSwitch: Togglable {
func toggle() {
...
}
}
Delegation 과 Protocol
Delegation(위임)은 클래스나 구조체가 자신의 책임을 다른 타입의 인스턴스에게 위임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.
이러한 패턴은 사용자의 특정 행동에 반응할때, 비동기 처리 등의 상황에서 쓰일 수 있습니다.
이러한 위임 패턴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프로토콜입니다.
protocol DiceGame {
var dice: Dice { get }
func play()
}
protocol DiceGameDelegate: AnyObject {
func gameDidStart(_ game: DiceGame)
func game(_ game: DiceGame, didStartNewTurnWithDiceRoll diceRoll: Int)
func gameDidEnd(_ game: DiceGame)
}
class SnakesAndLadders: DiceGame {
let finalSquare = 25
let dice = Dice(sides: 6, generator: LinearCongruentialGenerator())
var square = 0
var board: [Int]
init() {
board = Array(repeating: 0, count: finalSquare + 1)
board[03] = +08; board[06] = +11; board[09] = +09; board[10] = +02
board[14] = -10; board[19] = -11; board[22] = -02; board[24] = -08
}
weak var delegate: DiceGameDelegate?
func play() {
square = 0
delegate?.gameDidStart(self)
gameLoop: while square != finalSquare {
let diceRoll = dice.roll()
delegate?.game(self, didStartNewTurnWithDiceRoll: diceRoll)
switch square + diceRoll {
case finalSquare:
break gameLoop
case let newSquare where newSquare > finalSquare:
continue gameLoop
default:
square += diceRoll
square += board[square]
}
}
delegate?.gameDidEnd(self)
}
}
위 코드를 보시면 SnakeAndLadder에서 프로토콜을 가져와서 메서드를 실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그에 따른 구현은 하지 않습니다.
구현은 해당 delegate를 채택한 DiceGameTracker에서 진행합니다.
class DiceGameTracker: DiceGameDelegate {
var numberOfTurns = 0
func gameDidStart(_ game: DiceGame) {
numberOfTurns = 0
if game is SnakesAndLadders {
print("Started a new game of Snakes and Ladders")
}
print("The game is using a \(game.dice.sides)-sided dice")
}
func game(_ game: DiceGame, didStartNewTurnWithDiceRoll diceRoll: Int) {
numberOfTurns += 1
print("Rolled a \(diceRoll)")
}
func gameDidEnd(_ game: DiceGame) {
print("The game lasted for \(numberOfTurns) turns")
}
}
이렇게 동작과 구현을 나눠서 함으로써 일정 부분의 책임을 다른 인스턴스에게 넘기는 것입니다.
이때 핵심은 프로토콜을 통해서 연결된다는 사실입니다.
*참고
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15479573
'Swif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ift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(POP) (0) | 2020.08.19 |
---|---|
Swift - Escaping Closure(탈출 클로저) 간단 이해 (0) | 2020.08.13 |
Swift - 서브스크립트(subscript) (0) | 2020.08.03 |
Swift 이니셜라이져 init() (0) | 2020.07.30 |
Swift 옵셔널, 옵셔널 바인딩, 체이닝 (0) | 2020.07.28 |